since 2010

NICEBill

대한민국 1세대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 나이스빌

사장님,
물건 사고팔 때 영수증 확인
꼼꼼히 하고 계시나요?

사업자가 매입과 매출이 발생할 때 함께 부과되는
부가세를 보신 적이 있으실 거에요

부가세는 거래 간의 수익에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이 부가가치세에 대한 징수를 증명하고 서로 간의 거래 사실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계산서 발행이 꼭 필요하죠.

이것을 전자 문서화하여
국세청에 꼭 전송해야 하는데요.

전자세금계산서는 거래를 증명하기 위해 신고가 필요한
세법 제도 입니다.
가장 확실한 영수증인 셈이죠!

2010년도부터 도입된 전자세금계산서 제도는

납세협력비용의 절감과세무 거래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경제의 디지털화를 더 발돋움하기 위한 도약이기도 했죠.

그로인해 전자세금계산서는
매해 의무발행 조건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2년 2억 원 이상, 2023년 1억 원 이상, 2024년은 8천만 원
이상이면 발급이 의무화되었어요.
(직전연도 공급가액 기준)

안전하고 성숙한 거래를 위하여 애쓰는
대한민국의 모든 사업자를 응원합니다.

국세청 표준 인증 플랫폼 대한민국 전자세금계산서
1세대 나이스빌을 만나보세요

나이스빌?

나이스빌(nicebill)은 세금계산서와 (면세)계산서를 작성하고 공인인증서로 인증 후 발행, 국세청에 전송하는 대한민국 1세대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입니다.
‘전자거래기본법’과 ‘부가가치세법’에서 정한 전자세금계산서 표준 인증을 받은 나이스빌은 대한민국 금융 인프라의 선두 기업인 NICE그룹의 계열사 NICE디앤알의
대표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개인사업자는 물론, 법인 기업의 대량 발행(시스템 API 연동 등) 또한 검증된 성능과 속도로 많은 기업에서 이용 중입니다.

편의 기능!

  • 전자세금계산서, 계산서, 거래명세서(세금계산서 연계), 견적서, 입금표 등 세무 표준 양식

  • 역발행, 위수탁 발행, 사업자 맞춤 전자세금계산서는 물론, 수정세금계산서도 한 곳에서

  • 거래처, 발행 내용 파일 일괄 등록하여 1,000건의 대량 발행도 가뿐히 진행

  • 전송 중, 전송 완료, 전송 실패, 미전송, 전송 제외 등 실시간 국세청 전송 상태 모니터링

세금계산서도 발행 방법이 각각 다르답니다.

구분 정발행 역발행 위수탁발행
기재사항 작성자 매출자(공급자) 매입자(공급받는자) 수탁자
(위수탁세금계산서 ‘비고’란에
수탁자 사업자번호, 상호 기재)
전자서명자
(공동인증서)
매출자(공급자) 매출자(공급자) 수탁자
전자세금서
발행자
매출자(공급자) 매출자(공급자) 수탁자
발행 책임 매출자(공급자) 매출자(공급자) 매출자(공급자)

API 전자세금계산서 연동이 가능해요.

나이스빌은 SOAP 방식(http 통신 기반)의 API로 인터넷이 되는 곳이라면 어떠한 환경에서도 연동이 가능합니다. (XML 기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
또한, 최초 1회 전자서명으로 건 수 제한 없이 일괄로 발행 가능하며 그 외에는 전자서명 서버 보유 시 서명 값 전송으로 대량 발행합니다.
(공인인증서를 나이스빌 서버에 저장)
국내 업체 최고의 데이터 기업인 NICE그룹 자체 IDC 센터에 데이터를 보관하며 고객님의 소중한 정보는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개발자 BOOK

나이스빌은 바쁜 개발자를 위하여 연동에 필요한 소스와 테스트 환경을 제공합니다.
상단의 개발자 BOOK을 통하여 국세청에 신고 가능한 API를 살펴보세요.
대표적인 전자세금계산서 서비스인 나이스빌은 전문 인력과 보안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편리하며 신속한 피드백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기본적으로 API 서비스 도입 시 프로세싱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이스빌 외에도 Dmoa, 휴폐업 조회, 거래명세서 등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사전준비 > 연동환경 확인 > 연동신청(연결) > [NDR접수] > 공인인증서 등록 > 지원환경 확인 > [브라우저 등] > 개발 테스트 > 오류코드 수신 > [오류 케이스 개별확인] > 운영서비스 전환 ...

간이과세자가 아닌 일반과세자, 법인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라면 거래 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발급받는 의무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증빙된 거래는 부가가치세 신고 시 절세 혜택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딱 세 가지만 기억하시면 가산세를 내지 않습니다.

  • 하나.

    공급자와 공급받는 자의 명확한 사업자 정보

  • 둘.

    거래가 일어나는 공급가와 부가세액

  • 셋.

    거래일자가 속한 세금계산서 발급 기간! (익월 10일)

매월 10일을 잊지 마시고 계산서를 발행해주세요~